다이소 ‘익일 배송’ 서비스 시작 온리인 시장 파급력은?
일본 지분 인수를 통해 ‘국민 가게’로 탈바꿈한 아성다이소가 전국 익일 배송으로 소비자들을 공략합니다.
균일가 생활용품점 아성다이소는 기존 다이소몰과 샵다이소를 통합한 ‘다이소몰’을 오픈하면서 한진택배와 손잡고 전국 익일 배송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무료 배송을 받으려면 1천~2천 원짜리 상품을 최소 10개 이상 구매해야만 하는데요.
그렇다고 상품 몇 개만 구매하고 별도로 배송료를 내는 것은 아까운 상황이죠.
최근 다이소몰과 샵다이소를 ‘다이소몰’로 통합 운영하기 시작하면서
익일배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다이소몰에서 판매되는 모든 상품을 평일 오후 2시 이전에 주문하면
다음 날까지 상품을 받을 수 있으며 상품 배송은 한진택배가 맡습니다.
배송비는 3만 원 이상 구매할 때 무료이며 3만 원 미만이면 3천 원을 내야 합니다.
다만, 일요일과 공휴일은 택배 휴무이고, 일부 도서·산간 지역의 경우엔 배송 기간이 더 길어질 수 있습니다.
전국에 1500여개 매장을 운영 중인 다이소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엔 배달대행업체 ‘부릉’과 ‘바로고’를 통해 빠른 배송을, 오케이종합특송을 통해 일반 배송을 시범 도입한 바 있습니다. 온라인 주문 후 매장에서 찾는 ‘픽업 서비스’도 같이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다이소의 주 고객층은 매장을 방문해 값이 싼 제품을 직접 골라 사는 재미를 즐겼고,
빠른 배송의 경우 배송비가 4천원이나 돼 큰 호응을 얻진 못했습니다.
이번에 도입하는 익일 도착 택배 서비스 역시 5천원 미만 제품을 3만원 이상 사야 무료배송이 가능해 주문이 크게 늘어날지는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이소는 500원부터 5000원까지 저가 생활용품과 식품 등 3만여 가지 제품을 박리다매 전략으로 판매하면서 상당수 유통업체들이 고전하는 상황에서도 지난해 매출 약 3조원, 영업이익 약 24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8%가 넘는데, 같은 기간 유통업계 대표 사업자인 롯데쇼핑(2.5%)·이마트(0.5%) 등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입니다.
저도 다이소에서 물건을 사는 것을 참 좋아하는데요.
다이소는 하나만 사려고 방문해도 두 세개씩 사게 되는 곳인 것 같습니다.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5G 이동통신 지원, 55만원대 노트북 ‘갤럭시 북 3 Go 5G’ 출시 (0) | 2023.12.27 |
---|---|
IRP 계좌개설 장단점은? 개인퇴직연금 세액공제 한도 알아보기 (1) | 2023.12.26 |
파킹통장이란? 장단점 간단하게 알아보기 (0) | 2023.12.15 |
IRP 계좌개설 단점 장점 정리, 개인형 퇴직연금 세액공제 한도 (1) | 2023.12.07 |
롯데마트, 2만원대 합리적인 가격에 대방어회 단독 판매 (0) | 2023.11.28 |